자바 풀스택 공부78 Day 4. 1. 정수형 저장방식 2. 실수형 저장방식 3. 형변환 2022. 1. 4. Day 3. 1. 이진수의 음수 표현 10진 음의 정수를 2진수로 변환하려면, 먼저 10진 음의 정수의 절대값을 2진수로 변환한다. 그 다음에 2진수의 '2의 보수'를 구하면 된다. 예를 들어 '-6'의 2진 표현을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6 ----> 6 ----> 0110 ----> 1010 // 절대값 2진수 2의보수 2. 보수 2의 보수법(2's complement) 어떤 수의 'n의 보수'는 더했을 때 n이 되는 수를 말한다. 7의 '10의 보수'는 3이고, 3의 '10의 보수'는 7이다. 3과 7은 '10의 보수의 관계'에 있다고 한다. '2의 보수 관계' 역시, 더해서 2가 되는 두 수의 관계를 말하며 10진수 2는 2진수로 '10'이다. 2진수로 '10'은 자리올림이 발생하고 0이 되는 수를.. 2022. 1. 4. Day 2-2. 1. 진법 진법이란 수를 표기하는 기수법의 하나로 임의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방법을 10진법이라고 부릅니다. 현재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되는 진법은 2진법, 8진법, 10진법, 16진법으로 총 4가지 입니다. 2진법(binary notation) 2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만으로 수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컴퓨터 논리회로에서 사용하는 단위로 0, 1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2진수 자릿값이 올라감에 따라 그 크리가 2배만큼 커집니다. 더보기 컴퓨터에서는 2진수의 한 자리를 비트(bit)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가리키며, 이러한 비트가 8개 모여 1바이트(byte)를 구성합니다. 8진법(octal notatio.. 2022. 1. 3.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1 + 0.1이 1.1이 아닌 이유 https://wakestand.tistory.com/203 자바 소수 오차 없이 계산 및 사칙연산 방법 자바에서 소수점 계산 시 콘솔창 아래줄과 같이 값이 이상하게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IEEE 754 부동 소수점 방식으로 계산해서 저렇게 나오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면 되고 프 wakestand.tistory.com 에서 참조했습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val1 = 3.14; double result = val1 + 1.00; System.out.println(val1); System.out.println(result); float val2 = 3.14f; float result2 = val2 + 1; System... 2021. 12. 31. 이전 1 ··· 16 17 18 19 20 다음